고학수 (한국식품산업협회 전무이사 )

▲ 고학수 한국식품산업협회 전무이사
농업과 식품산업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식품산업은 농업생산물의 최대 수요처이며
농업생산물 가치를 증진해주는 상생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WTO체제 출범으로 농산물 수입이 개방된 지 21년째, 그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농업지원정책에도 불구하고 농가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되고 있으며 농산물 수입증가에 따른 농산물 가격불안, 농가소득 정체로 농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계속 낮아지고 있다.

식품산업의 경우 2008년 식품업무가 농림축산식품부로 이관되면서 식품산업진흥법을 제정하고 식품산업종합대책을 수립하는 등 식품진흥정책을 적극 추진하면서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6.8% 성장해 왔으며 매출규모도 77조 원 수준으로 신장됐다. 그러나 국내 원료농산물은 수입산에 비해 높은 가격, 공급의 불안정으로 식품제조업체의 해외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국산 원료사용량이 30% 수준으로 줄어들고 있는 등 농업과 식품산업과의 연계가 미흡한 점이 당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농업과 식품산업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식품산업은 농업생산물의 최대 수요처이며 농업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매개체로서 농업생산물 가치를 증진해주는 상생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농장에서 생산된 식재료가 식탁에 오르기까지 농업과 식품이 상생 협력하는 것이야말로 식품산업의 질적 성장과 함께 우리 농업발전에 새로운 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우리 농업과 식품기업간의 상생협력의 바람은 참으로 다행스럽고 반가운 일이다. 농심의 국산 수미감자를 100% 사용한 ‘수미칩’ 생산, SPC그룹의 제빵용 밀 계약재배, CJ제일제당의 국산 가공쌀을 사용한 ‘햇반’ 생산, 대상은 순창고추장의 주원료인 밀가루를 100% 국산쌀로 대체하는 등 원료구매를 통한 상생협력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그 이외에도 매일유업·국순당은 공동지분 출자를 통한 농업회사법인을 설립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상생모델들이 선보이고 있다.

이제 초기 단계의 농업과 식품산업 간 상생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을 본격화하기 위해서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먼저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의 협력과 융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상생의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정부주도의 농식품상생협력추진본부 역할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농업생산자단체, 식품관련단체, 지자체 등이 농업생산자와 식품기업을 매치해 주는 시스템구축이 필요하다. 이들이 주체가 되어 영세한 생산자들을 조직화, 집단화해 기업이 원하는 품질, 가격, 물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품종개량과 상품개발, 생산·가공·유통기술개발 등을 위해 수요자와 공급자, 연구기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R&D 지원이 필요하다.

이와 아울러 농업과 식품기업의 상생협력을 제약하는 불공정거래관행이나 기업의 원가부담을 유발하는 비과학적이고 불합리적인 법령·제도 등은 과감히 개혁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차원의 시혜적 참여는 지속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농업과 참여기업 모두가 윈-윈 할 수 있는 공유가치창출(CSV)을 위한 상생협력 활동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농업과 식품기업, 이제는 그동안의 오해와 불신에서 벗어나 힘을 모아 상생협력의 깃발을 높이 들 때다. 농업과 식품의 문제, 상생에 답이 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