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라북도의회 산업경제위원회 의원

농업인 소득향상시킬 실질적 정책 마련 시급
전북 이전 농업관련 기관과 연계, 청년 일자리 발굴해야

“농림수산 발전기금을 활용한
농산물 최저가 보장제도,
수급안정 기금의 별도 조성 등의
실질적 대안 마련돼야“

전라북도 도의회 김대중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익산1)은 산업경제위원회에 소속돼 전북의 농업발전과 취업 못한 젊은 층을 위해 현장을 발로 뛰겠다는 각오로 열정적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전북 도의회 친환경연구 모임에 참여, 전북 농업발전의 방향을 연구 제시하는데도 역할을 하고 있다.“농도 전북의 농업인들을 웃게 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피땀 흘려 생산한 농산물이 제 값을 받아 수고한 대가가 손에 직접 쥐어졌을 때”라며 전북도의 실질적 농업정책의 대안 마련을 요구하고 있는 김대중 의원을 전북도의회에서 만났다.

-지역구인 익산을 비롯해 농업현장을 둘러보며 느끼시는 농촌의 현실은?
올해도 대풍이 예상된다니 참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지난 4월, 모내기철에 농업현장을 둘러볼 때만 해도 활기가 넘치던 농업인들에게서 실망과 한숨 섞인 목소리가 자주 들린다.
우리농산물의 판로는 한정돼 있고 수확량이 많다보니 오히려 제 값을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한 하소연이 많았다. 전라북도 농정에 대한 따가운 질책의 목소리를 들을 때마다 어디에서부터 손을 대야 하는 것인지 고민스럽다. 전라북도가 최우선의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는 삼락농정의 ‘제값 받는 농업’에 대한 농업인의 기대가 큰 게 사실이지만 체감할 만한 성과가 없는 것에 대한 실망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지역구인 익산이 식품산업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고, 식품산업이 미래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식품산업에 대한 농업정책으로 제안하고 싶은 것은?
지난 2013년 국내 식품산업 매출 규모는 농림어업분야 46조원의 3.4배에 이르는 156조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과 식품산업은 상생해야 한다. 농도 전북이 국가식품클러스터와 같은 대규모 식품단지를 유치한 것은 새로운 기회의 장을 마련한 것으로 더욱이 익산은 KTX 호남고속철도가 지나는 교통의 요충지이자 새만금 간척지와 가까워 식품산업 허브로 최적의 입지 조건을 갖췄다.
우선 혁신도시로 이전한 농업관련 기관과 도내 대학과 연계해서 농식품 산·학·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나아가 도내 젊은 인력을 식품분야 전문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고 적극적인 지원에 나서야 한다. 전라북도의 식품산업은 미래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써 농도전북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이다.

-농업관련 기관의 전북 이전에 대한 기대와 전북의 상생협력 방안은?
전라북도는 농진청, 국립식량과학원 등 농업 관련 기관들이 이전으로 367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 2790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효과, 4400여명에 이르는 고용유발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추산한다. 신규일자리 창출뿐 아니라 지역인재 취업기회가 확대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런 경제적 효과 뿐 아니라 농업관련 기관들의 이전으로 농업에 있어서는 타시도와의 경쟁에서 확실히 비교 우위를 차지하게 됐다.

총체적인 농업의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농도 전북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이제 전북도는 농업관련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한 농생명산업으로의 차별화된 융복합산업화 전략을 펼쳐야 된다.
각 연구기관들의 ‘현장 농업의 장’을 전라북도가 제공함으로써 전라북도 농업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
또한 전라북도와 농업 관련 기관이 협력해 농업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다양한 일자리를 발굴해 전북으로 젊은이를 끌어들이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전라북도 농업의 미래 또한 여기에 달려있다고 본다.

-‘전라북도 마을만들기 지원 조례 개정 조례안’ 발의 등 지역발전도 힘을 실어주고 있다. 함께 더불어 살기 위한 마을만들기 사업의 효과적 추진 방법은?
전북도는 지난 2009년 마을만들기 지원조례를 제정한 이래 선도적으로 마을만들기 사업을 진행해 왔지만 대부분 행정 주도로 사업이 추진돼 많은 폐단을 안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행정과 민간이 중간적 입장에서 사업을 기획, 실행하고 사후 관리를 하는 등 지원역할을 할 수 있는 중간지원조직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번에 개정한 조례안도 중간지원조직이 역할을 규정하고 민관 협력기반을 구축하고 나아가 시군 단위의 중간지원조직을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FTA의 거센 파도 속에서 지속가능한 전북 농업과 행복한 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이 있다면?
농업·농촌이 결코 녹록치 않은 상황이지만 언제까지 문제점만 내세우며 고민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위기는 기회라고 한다. 오히려 FTA로 농업의 수출 시장이 확대되고 1차 생산에 한정되던 농업이 가공·서비스와 연결된 6차산업화로 부상하면서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 것이다.

한중 FTA 체결로  국내산 농식품에 대해 고품질·안전식품이라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중국의 농식품 시장을 적극 공략할 필요가 있다. 전라북도에 이전한 농업관련 연구기관과 국가식품클러스터를 활용해 우리 도에서 생산한 농산물의 품질경쟁력 향상에 주력한다면 충분한 경쟁력이 있다고 본다.  

또한 전라북도에서 우선으로 내세우고 있는 삼락농정이 농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으로 개선돼야 한다. 농산물 최저가 보장제도가 농림수산 발전기금을 활용한다든지 수급안정 기금을 별도로 조성하는 등 하루빨리 제도적 지원근거를 마련하고 실질적인 대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전북 농업발전에 버팀목인 여성농업인의 삶의 질 향상과 농업의 6차산업화에 대한 의원님의 견해는?
여성 농업인의 역할과 중요성은 말로 다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다고 본다. 여성도 농업생산의 한 주체로서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해 여성농업인의 경영능력, 리더십 등 역량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기존 생산위주의 농업이 농산물 가공·판매, 도농교류, 직거래 등 6차산업화로 그 범위가 확대되면서 여성농업인의 역할이 중요해짐도 익히 알고 있다.

전라북도의 6차산업 정책이 여성농업인 주도형의 6차산업으로 재검토 되어야 한다. 또한 여성농업인 주도의 소규모 농식품 가공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지원책이 마련에도 힘을 실어야 한다. 나아가 이주여성농업인, 귀농·귀촌 여성, 고령여성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한 소득창출지원 정책도 면밀히 살피겠다.
이제는 여성농업인이 농업정책의 주인이라는 근본적인 의식변화가 필요한 시기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