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사건 1주년과 5월1일 근로자의 날을 맞으면서 집회가 극심했다. 집회가 극렬해 경찰버스가 불에 타고 경찰과 집회 참가자간 서로 다치는 불상사가 속출했다.
이런 극렬한 집회를 보면서 한국사회에서는 갈등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원초적인 한계가 있는 것 같아 무척 안타까웠다.

왜 갈등은 심화될까? 절충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거나 때로는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는 심각한 우려를 하게 된다. 이런 갈등의 원초적인 발단은 대부분 정치에서 비롯된다고 본다.
정치는 타협이다. 민주주의는 반대진영이 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상대편과의 원만한 타협이 없이는 민주주의는 불가능하다. 현실정치에서 원하는 모든 것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은 상식이다.

갈등이 없는 건강한 사회구현은 이런 상식을 실천하느냐 여부에 달려있다. 우리 정치를 보면 국민의 민의(民意)를 져버리고 오직 자기 당의 당리당략에만 매몰되어 정쟁으로 일관해 국민을 피로하게 한다. 그리고 국민에 안도를 주지 않고 걱정만을 준다.
특히 국회 선진화법이란 미명아래 의회내에서 폭력을 보이지 않지만 거리에 나서는 거리정치로 사회혼란을 조장한다.

국회 선진화법으로 다수결의 의회정치를 실종 마비시키고 있다. 이런 의회정치의 실종 하루 빨리 수습해야 된다.
거리정치 청산해야 된다. 지체되는 국력성장 타협과 절충정치로 풀어 나라성장 이끌어 내야 한다.
삼성경제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갈등지수 낮추면 2010년 기준 국민1인당소득 5,023달러를 늘릴 수 있다 한다. 타협의 정치 절실하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