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문희 한국직파농업협회장

▲ 이문희 한국직파농업협회장 (전 농촌진흥청 차장)

농식품부, 직파재배 최적모델 개발 추진
직파, 육묘이앙보다  22.8% 비용절감 효과

최근 우리정부가 쌀 수입관세율 513%를 전제로 쌀시장을 개방하고 WTO와 협상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처럼 쌀 수입개방에 대응해 관세율을 높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쌀 수출국가에 비해 높은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낮춰 가격 경쟁력을 갖도록 하고, 농촌 고령화와 부녀화에 따른 쉽고 편한 벼농사 기술 개발·보급이 이뤄져야 한다.

우리 농업에서 생산비를 획기적으로 낮추는 방법은 농지 규모를 늘리거나 생력화를 통한 노동력 절감이 최우선 과제다. 하지만 농지규모를 늘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그나마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은 육묘와 이앙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직파농업이 그 대안이다. 우리나라 직파재배 기술은 1992년부터 농가에 보급돼 1995년에는 전국 논 면적의 11.1%(117,500㏊)까지 확대 보급됐다. 그러나 입모의 불안정, 잡초, 도복, 잡초성벼 발생 등의 문제점이 있고, 고품질 쌀 생산에 중점을 두다보니 확대 보급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 후 2004년 농식품부에서 벼 직파재배 확대 정책을 수립해 추진했지만 직파재배 면적이 증가되지 못하고 점차 감소돼 2014년에는 전국 논 면적 815,000㏊의 2.2%인 17,800㏊로 크게 감소했다.

▲ 직파기를 이용해 벼를 파종하고 있는 모습.

벼 직파재배에서 문제가 됐던 입모와 도복은 새롭게 무논점파 재배기술이 개발되고 질소비료 절감 등으로 크게 개선됐으며, 또한 잡초방제도 초기·중기 제초제의 체계적인 처리로 어렵지 않게 됐다. 그러나 잡초성벼 관리에 대해서는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이 좀 더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연구에 투자해 기술을 개발하고 정립해야 한다.
농식품부는 지난해부터 벼 직파재배기술 최적모델 개발을 위한 벼 무논점파 재배기술의 들녘경영체 적용 실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직파농업협회도 올해 호남권, 영남권, 중부권 등 전국을 3개 권역으로 나눠 실증시범단지를 설치하고, 벼 직파재배기술 최적모델 개발과 농업인 현장교육을 병행해 추진하고 있다.
또한 최근 보급 중인 트랙터나 이앙기에 부착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무논점파 파종기는 정밀 파종과 동시에 측조시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직파재배 방법보다 한층 안정적인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트랙터 부착형 다기능 파종기는 논과 밭작목 간에 범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 농기계 이용 면에서도 매우 효율적이다.

벼 무논점파재배는 기존 기계이앙의 필수 과정인 못자리 설치와 육묘 관리, 이앙작업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노동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이 있는 벼 직파재의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정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농식품부가 추진하는 기계이앙 중심의 들녘경영체 육성 사업에 직파재배를 포함하거나, 별도로 직파재배단지 중심의 들녘경영체를 육성해야 한다.

특히 직파재배 농가에 대한 파종기계, 비료, 제초제 등 농자재 지원과 더불어 직파 재해보험 등 다양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무논점파재배기술 집단재배단지 조성과 농업인 기술교육, 농기계 공동이용, 파종기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농기계은행 운영 활성화 등도 벼 직파재배 기술을 농가에 확대 정착시키기 위한 당면과제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