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을 열며

▲ 채희걸 본지 고문

타산업과의 융합연구와
수도권 우수인재 영입에
관심과 세심한 대책 세워야

수원은 정조대왕이 서호(西湖)를 축조하고 제방에 축만제(祝萬堤)라는 비를 세워 농도(農都)를 삼아온 오래된 농업수도(農業首都)였다. 이후 일제강점기 권업모범장 거쳐 1962년 발족한 농촌진흥청과 서울대학교 농과대학이 자리하면서 농업기술 연구개발의 본거였으며, 농업인재 양성의 요람이었다. 그러던 것이 서울대 농대가 관악캠퍼스로 옮겨가고, 노무현 정부가 들어서면서 지역 균형개발시책에 따라 농촌진흥청의 전북이전이 결정돼 지난 7월 본청과 국립농업과학원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이전을 완료하게 됐다.

농촌진흥청의 전주·완주로의 이전과 관련, 농업계 인사와 농업인, 뜻 있는 국민들의 반대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정부의 지역균형개발 대세에 밀려 이전을 하게 되고 말았다. 이전에 반대하는 사람들의 요지는 대강 이렇다.
농진청이 수원에 존치돼야 하는 첫 번째 이유는 남북통일을 대비해 북한농업의 개발을 위해서는 통일한국의 중심부인 수원 존치가 필수불가의 요인이기 때문이다.

둘째, 농업경쟁력은 이제 농업기술만으로는 확보가 힘든 산업이 되고 있다. 기계·관광·IT·마케팅, 심지어는 금융·문화·예술에 이르기까지 다른 분야와의 융합연구로 농업의 6차산업화 연구 촉진이 절실한 시점이다. 다른 산업의 연구기관과 관련 대학 대부분이 수도권에 있는 상황에서 농진청 이전은 다른 산업과의 협력·융합연구에 차질이 크다고 본다. 이 때문에 농진청이 이전된 상황에서 타 산업과의 협력연구에 특단의 노력을 기울여주기 바란다.
셋째, 토양과 기후가 다른 전북으로 이전함에 따라 그간 수원에서 해오던 농사 시험연구성구 데이터의 왜곡이 우려됨에 따라 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면밀히 대처해야 한다. 과수를 비롯한 연구용 묘목도 이식에 따른 비용문제와 이식 후 회생도 쉽지 않아 이식을 포기하고 새롭게 조성해 새로운 데이터 축적에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다.

끝으로 농진청 지방이전에 따라 우수인재의 채용 또는 영입 확보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는 점이다. 최근 들은 바에 따르면 농촌경제연구기관 책임자가 외국에 있는 한국의 우수인재를 영입하기 위해 외국에 나갔었다. 영입후보자를 초빙했지만 근무지가 서울이라면 몰라도 지방근무는 어렵다며 거절을 했단다. 외국에서 활동 중인 한국의 농업분야 우수인재의 한국 영입이 무산되는 실정이다. 그뿐 아니라 수도권 농과대학 졸업예정자들은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농진청 취업을 꺼린다. 취업문이 좁아져도 지방까지는 못가겠다는 것이다. 농진청 소속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도 이전했다. 약소한 강사수당에 출장거리 멀어져 수도권 강사 초빙이 어려워졌다고 본다. 농촌진흥사업의 발전은 우수인재의 발굴, 참여로 좌우된다. 앞으로 우수인력의 발굴과 확보에 특별한 관심과 면밀한 시책을 펴주기 바란다. 그리고 지방이전으로 제기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보다 자세히 살펴 이전에 따른 피해와 문제를 조기에 수습해 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