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농업 6차산업, 여성이 주인공이다

▲ (사진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최은숙 씨, 강선아 씨, 신지희 씨, 손모아·병인 남매, 최윤희 씨, 오연화·난희 자매, 정문희·문주 자매.

 ⑧ 농업의 매력을 느낀 젊은 여성들

농업농촌의 6차산업화로 농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고령화와 개방화, 기후변화 등의 여건에서 생산 위주의 농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농업의 6차산업화로 신 성장동력을 찾고 농촌사회에 활력을 모색하고 있다.
농업의 6차산업화에는 여성농업인과 청년의 적극성과 힘이 반드시 필요하다. 6차산업을 지향하고 있는 전국 각지의 젊은 여성농업인들을 현장에서 만나며 6차산업에 있어 여성농업인들의 역할, 성공요인, 애로점, 비전 등을 담아본다.

트렌드의 변화에 민감하고
미적 감각 뛰어난
젊은 여성들이
농업의 6차산업화를 이끈다

①가족협동형 최은숙(27) (가족영농조합법인 인천 무의도 실미원) 가족이 힘 모으는 아름다운 농업 추구
②가업승계형 강선아(30) (전남 보성 농업회사법인 우리원 ) 유기농으로 여는 또 다른 세상 꿈꿔
③체험관광형 신지희(35) (파주 산머루교육농장) 외국인 체험관광의 새 장 열어
④해외수출형 정문희(46)·문주(40) 자매 (익산의 깊은 숲속 행복한식품) 유기농쌀 가공해 해외시장 개척
⑤창의적 아이디어형 최윤희(36) (전북 고창군 상하면 농업회사법인 빛뜨락) 발명특허 받은 창의적 제품 생산
⑥특용작물생산형 오연화(40)·난희(33) 자매 (경남 창녕 자꾸커 농장) 섬세한 천년초 손질과 블로그를 통한 고객관리로 두각
⑦생산유통분업형 손모아(26) 병인(24) 남매(영암의 모인농산) 생산과 가공 유통 업무분담하며 6차산업화 지향

농업의 6차산업화에 적극 나서 꿈을 현실로 만들고 있는 젊은 여성들이 있다. 지역경제도 살리고 부가가치도 높이는 농업의 6차산업화에는 여성의 힘이 절대로 필요하다. 기후변화와 농촌의 고령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 농촌의 활력소는 이제 여성농업인이기 때문이다.
농업의 6차산업화는 어느날 갑자기 생겨난 것은 아니다. 예전부터 앞선 농업인들이 추구해 오고 있던 것으로 6차산업에 매진한 선구자적 여성농업인을 우리는 쉽게 찾을 수 있다. 바로 우리나라에 매실 붐을 일으킨 광양의 홍쌍리 여사는 우리나라 농업의 6차산업의 선구자로 불릴만하다.
홍쌍리 여사는 수 십년 전 길도 없던 오지였던 전남 다합에 매실나무를 심어 가꿔 매화천국을 만들었다. 매실 하나로 매실엑기스와 매실 장아찌 매실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며 매실의 효능을 알리고 부가가치를 높였다.
한해 100만여 명의 관광객이 찾는 포천 허브아일랜드의 임옥 대표 역시 허브로 만들어낸 6차산업의 정석을 보여준다. 18년 전 시설하우스에서 자그맣게 시작한 허브재배와 허브체험이지만 허브아일랜드는 이제 포천 관광은 물론 경기도 관광을 주도하고 있다.
위의 경우처럼 여성의 섬세함과 창의력 그리고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로 이룩되는 농업의 6차산업화의 길을 이제는 젊은 후배 여성농업인들이 적극 나서서 농촌을 가꾸고 농촌에 활력을 주고 있다.

가업승계에 아이디어를 더했더니...
농업의 6차산업화를 이끄는 여성들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다. 가업승계형과 가족영농조합법인형 등 가족이 힘을 합쳐 6차산업화를 이루는 형태다. 선대가 이룩한 농업의 터전 위에 젊고 참신한 아이디어와 기획력과 추진력을 합쳐서 6차산업을 지향하는 경우다.
인천 무의도 실미원 교육농장의 최은숙 씨는 시부모님이 이뤄놓은 터전 위에 연꽃체험을 접목해 6차산업화의 길을 가는 경우다.
전남 보성 우리원의 강선아 씨 역시 선친인 고 강대인 선생의 유기농에 대한 신념을 이어받고 젊은 여성 특유의 감각과 미적 센스를 결합해 농업의 새장을 열고 있다. 영암의 손모아·병인씨 남매 역시 부모님의 가꿔놓은 터전 위에 가공으로 부가가치를 높이고 SNS를 이용한 유통의 확장으로 6차산업화의 길을 가고 있다.
농업에서 희망을 발견하고 용감하게 귀농하는 젊은 여성들도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익산의 정문주 씨는 농업에서 희망을 발견하고 귀농해서 유기농 쌀을 이용한 유아용 쌀 과자를 생산해 해외로 수출하는 케이스다.
고창의 약초밭 아낙네 최윤희 씨는 고창으로 귀농해 특화작목에 대한 부단한 연구와 노력으로 개똥쑥을 직접 재배하고 특허까지 받아 창의적 농업에 도전하고 있다. 경남 창녕의 오연화·난희 자매 역시 천년초 재배로 생산과 가공에 앞장서고, 귀농 전도사로서 농촌에서 행복을 찾아 농촌에 활력을 주고 있다.

농업, 교육이 중요해
젊은 여성들의 농업에 대한 열정과 힘의 원천은 생활 속에서 농업의 소중함을 느끼고 깨달은 것도 있지만 교육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한국농수산대학·벤처대학·천안연암대 등은 젊은 농업인재를 키우는 양성소가 되고 있다. 특히 한국농수산대학은 가업승계농의 농업사관학교다. 농업 관련 지식과 기술, 경영능력 등 국제적인 안목까지 두루 갖춘 젊은 농업인재들을 배출하고 있다. 인천 실미원의 최은숙 씨 산머루농원의 신지희 씨 모인농산의 손병인 씨 등 농수산대학의 졸업생들은 전국 곳곳에서 우리나라 농업의 희망 불씨를 피우고 있다.
지자체 역시 젊은 농업인 육성에 팔 걷고 나서고 있다. 전남농업기술원은 청년창업프로젝트로 젊은 농부들의 농업의 6차산업화를 지원하며 성과를 내고 있었다. 우리원의 강선아 대표와 모인농산의 손모인 씨가 전남농업기술원의 창업프로젝트의 지원을 받아 유기농 쌀 디자인 포장과 할머니손맛 누룽지 가공품을 만들어 부가가치를 높인 경우다.
농업의 6차산업은 지역의 발전을 견인한다. 파주의 산머루농장은 마을 작목반에서 생산한 산머루를 모두 수매해 가공하고 있고, 모인농산 역시 지역 작목반의 유기농쌀까지 가공해 지역민과의 상생을 꾀하고 있다.
한편 정부도 지난달 농촌융복합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힘을 실어주고 있다. 농식품부는 6차산업이 농촌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전문가 멘토단으로 구성한 6차 산업지원센터를 각 지역에 만들어 6차산업 기업들의 애로사항과 경영 컨설팅을 지원한다.
농업은 6차 산업화를 통해 활력을 찾아 나가야 하고 그 중심에는 트렌드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고 감수성과 미적 감각으로 무장된 젊은 여성들이 있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