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박평식 박사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박평식 박사

농업 6차산업화가
도농이 상생하는
윈-윈모델로 정착되길

농식품산업에 창조경제를 접목하는 수단의 하나로 정부는 농산업 6차산업화를 주요 농정과제로 설정했다. 농가의 식품가공 참여와 농촌관광사업 활성화 등 지원을 확대한다. 몇몇 지자체에서는 이미 사업화에 착수했고, 농촌진흥청도 농림축산식품부 정책과의 연계성을 강화해 T/F팀을 구성하고 연구개발과 기술보급 사업에 반영해 지역리더 역량개발과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필자는 얼마 전 블로그로 소통하는 천안의 봉황오이농장 팜-파티에 참석했다. 오이 따기와 오이음식 체험 등 영농체험을 통해 정신건강을 도와주는 체험관을 신축해 이웃들과 고마움을 나누고 정보교류도 할 겸 특별히 지역농업을 선도하고 있는 어울림공동체 회원들과 함께 한 자리였다. 시설하우스에서 오이 따기 체험을 하고 나서, 공동체 회원들이 자기농장에서 손수 재배한 농산물을 정성껏 가공한 배와 배즙, 포도와 와인, 인삼 가공품, 치즈와 요구르트 등 제품을 소개하고 시식도 했다. 농업 6차산업화의 한 예라고 하겠다.
최근 농업인과 마을단위, 지자체가 주도하는 6차산업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도라지 재배-가공으로 높은 부가가치를 올리는 이천 길경농원, 모시로 빚어낸 웰빙떡 서천 달고개 모시마을, 낙농과 체험이 어우러진 임실 치즈마을 등이 그것이다.
사실 농업생산과 가공·판매·관광 등과의 연계는 오래됐지만 정책으로 체계화되지는 못했다. 그동안 녹색농촌체험마을과 농촌전통테마마을 등 농촌체험관광, 전통식품과 농가맛집, 농촌여성일감갖기사업 등 다양하게 시도됐으나 관련사업의 추진체계가 미흡했다고 할 수 있다. 이론적 배경이나 관련 연구도 부족했다. 지역경제 활성화, 푸드시스템, 산업연관론적 관점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정책비전을 설정하고 도농상생의 윈-윈하는 모델로 정착되기를 바란다.
농산업의 6차산업화는 지역의 사회, 문화, 자원, 지역주민의 참여를 바탕으로 산·학·관·연 협력체계를 통해 다양한 모델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도 2000년대 이후 농촌 활력화를 위해 농공상 연대와 6차산업화를 기치로 지원법률을 만들고 행정·재정적 지원을 다양하게 펼치고 있다. 아무쪼록 새롭게 모색하기 시작한 농업인이 주도하는 6차산업화가 체계적으로 추진돼 농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