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이 알고싶다

국제협력의 태동과 발전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전쟁 피해국의 재건, 신생독립국의 빈곤과 기아해결이 국제관계의 주 관심사로 부각되면서 국제협력이 본격 시행됐다.
1950년대 이전에는 전쟁 피해국에 대한 전후복구와 무상원조 중심의 지원이 이뤄졌으며, 1960~1970년대에 접어들면서는 개도국의 산업화를 위한 차관지원 등 경제교류에 중점을 뒀다.
1990년대 들어와서는 극빈국을 제외한 나라에 대한 무상원조의 개념은 사라지고, 자립능력배양을 목적으로 한 기술공여(供與) 원조가 태동했다. 현물이나 비용지원보다는 농업기술협력을 통한 기아해결, 영양실조 개선 등의 기반을 제공하고, 사회복지, 문맹퇴치 등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자립능력 배양 목적의 원조로 선회됐다.

기아를 해방시킨 녹색혁명
전 세계의 밀 주식국가를 기아에서 해방시킨 녹색혁명은 국가 간 협력의 대표적인 사례다.
1944년 말 미국 록펠러재단은 국제옥수수밀연구소를 설립, 밀 생산량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는 연구사업을 선도했다. 1960년대 노먼 볼로그 박사는 밀 연구결과를 전 세계에 보급해 개발도상국의 기아해방에 기여했다. 1960년대 밀에서 시작된 녹색혁명은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줘 통일벼의 탄생을 통한 식량자급의 전기를 마련했다.

한국, 기술지원 주도국으로 나서
한국전쟁 직후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의 무상원조로 전후 피해를 복구하면서 이제는 무역규모 9위의 경제강국으로 우뚝 섰다. 한국농업도 녹색혁명을 달성하면서 농업선진국으로 환골탈태했다.
이 같은 국가성장에 힘입어 우리나라는 원조수혜국에서 저개발국을 돕는 원조국으로 위상이 바뀌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09년 베트남을 시작으로 미얀마, 우즈베키스탄, 브라질, 파라과이, 케냐, 에티오피아, 콩고 등 전 세계 15개국에 해외농업기술개발센터(KOPIA)를 설치해 선진 농업기술 지원에 나서고 있다.
21세기 농업기술협력의 이념과 과제는 인도주의적 차원의 원조부터 지구촌문제의 공동해결, 국익의 창출과 국격의 제고에 목적을 두고 신중한 지원을 해야 한다.
즉 상생하는 지구촌을 만들기 위해서는 첫째, 물고기를 주기보다 물고기 잡는 법을 지도하는데 주력해야 한다. 둘째, 인도주의적 협력수행의 사명과 전 지구적 농업·농촌문제 공동대응의 의무를 가질 수 있도록 계도해야 한다. 셋째, 수혜국의 주식(主食)과 영농기술, 인프라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기술협력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넷째, 한국의 녹색혁명 성공사례를 입체적이고 구체적으로 전수, 그 가치를 누릴 수 있도록 총력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미래에 대비해 기술지원국인 한국과 수혜국 상호간 농업성장동력원의 발굴을 도모할 파트너십 구축에 힘써야 한다.

<도움말:농촌진흥청 국제기술협력과 이근표 박사>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