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본 ‘한국의 농촌지도사업’

 

동 열 모
미국주재 대기자

"사회 고도화될수록
 농업의 산업적 기능보다
 농촌의 사회적 기능 강화돼
 지도사업, 교육적 기능 회복필요
 건실한 농촌여성조직
“마음 든든”"

최근 농촌진흥법 개정안이 농촌에서 농업 쪽으로 중심이 옮겨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듣고 반평생을 농촌지도사업에 몸담았던 필자는 이곳 미국에서도 안타까움을 금치 못한다. 농업이란 본시 상공업과 달리 자연재해에 무한 노출된 산업이며 생산 탄력성이 약한 산업으로 생산을 마음대로 조성할 수 있는 상공업과 경쟁할 수가 없다. 이러한 연유에서 경쟁력이 약한 농업을 위해 국가가 ‘농촌 지도사업’이란 이름으로 특별 지원했던 것이 농촌지도사업의 기원이다. 

농촌지도사업이 근대화 이끌어
이러한 취지에서 농촌지도사업은 1900년대 초에 지도사업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고 2차 세계대전 이후 전세계로 확산돼 식량문제와 농촌개발에 큰 기여를 했다. 6.25전쟁으로 피폐한 농촌을 부흥시킬 목적으로 도입한 우리의 농촌지도사업은 1957년에는 미국의 원조를 받아 ‘농사원(農事院)’을 발족하고 1962년 ‘농촌진흥청’으로 확대 개편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지도사업은 새로운 기술정보를 교육을 통해서 농업인에게 전달하는 하나의 교육사업이었다. 학교교육이 행정기관이 아닌 교육기관이 담당하듯이 직렬로 분리된 국가기관 지도공무원으로 투철한 사명의식과 헌신적인 노력과 열정을 쏟아 농촌근대화를 이룩해 냈다. 한편 녹색혁명은 물론 백색혁명의 위업도 달성했고 생활개선회, 농촌청소년육성 등 인재육성을 통해 새마을운동의 역군을 키워냈다. 
급속한 산업화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농촌의 공동체가 해체되고 농업이 산업으로서 가치가 줄어들면서 지도사업이 점차 활력을 잃어가고 있음을 안타깝게 생각한다. 지금까지 농촌진흥청 중앙기구는 계속 확대되는 반면 지방단위 지도기능은 행정기관과 흡수통합되는 등 점차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것은 결국 지방 지도기능은 축소하고 중앙 연구기관만 남기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듯하다. 그 예가 현재 개정안 속에 담긴 농촌 사회적 기능보다 농업기능만 살리자는 뜻으로 비쳐진다.
우리 사회가 고도로 산업화되고 정보화될수록 농촌은 농업이라는 산업적 기능보다 농촌이라는 사회적 기능이 더욱 더 강화 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 그것은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정신적 공해까지도 농촌이 흡수해 정화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구촌 시대에 불가피하게 수용해야 할 다문화 문제 또한 현재 농촌이 받아들여야 한다.

농촌여성조직 중심 역할 기대
그러나 그 중심 역할을 농촌생활개선조직이 훌륭히 수행하고 있음에도 이를 뒷받침할 연구와 지도는 미흡한 수준이다. 농촌지도사업 중심에는 농촌여성들이 있어 든든하다. 강인한 농촌여성이 있기에 분명 우리의 미래는 밝다. 나는 한국여성의 강인함을  6.25전쟁 피난길에서 목격했고, 새마을운동의 현장에서 똑똑히 보아왔다. 농촌이 당면한 오늘의 어려움도 농촌여성조직이 능히 감당해 내리라고 굳게 믿는다.
이번 농촌진흥법 개정에서 지도사업의 교육적 기능을 종전대로 회복하는 동시 농업이 아닌 농촌지도가 될 수 있도록 당국에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