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동 수원예총회장·시인

김 훈 동
수원예총회장·시인

"여성의 권익이 증진될 때
여성친화농촌이 된다.
어떠한 차별도 없어야 한다.
온 사회가 공동 노력해야
가능하다."

한·EU, 한·미FTA에 이어 중국과의 자유무역협상이 진행 중이다. FTA로 농업만이 유독 사면초가다. 식탁의 상당부분을 점하고 있는 중국농산물은 FTA가 체결될 경우 지리적 인접성과 작부체계의 유사성 때문에 우리 농업에는 그야말로 쓰나미급 충격이 될 수 있기에 그렇다. 지금은 별 뾰족한 대책이 없어 더욱 불안하다. 정부는 노력한다고 하지만 믿음이 가질 않는다. 속도조절을 통한 내실화가 중요한 때다. 정치권도 대선에만 매달리지 말고 초당적으로 협력하여 당면한 농업문제를 해결하는데 힘을 쏟아야 한다.
3년 전부터 여성친화도시를 만든다고 지자체마다 아우성이다. 기존의 여성정책을 강화하고 새로운 영역을 확대하여 여성 참여를 늘려가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여성정책이다. 여수,익산,수원,강릉,대구,청주,안양,안산,서울강남 등 전국 서른 곳에서 추진되고 있다. 비록 시범적 성격이라 하더라도 도시 못지않게 농촌도 그 범주에 들어가야 마땅하다. 농촌여성의 역할이 중요하기에 그렇다. 농가인구가 급감하고 있다. 현재 OECD회원국 중 가장 낮은 출산율이다. 저출산은 우리의 미래를 갉아먹는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다. 그뿐만이 아니다. 농가인구의 초고령화다. 현재 37.2%로 2~3년 안에 40%가 넘을 전망이다. 영농인력은 전체 농가인구의 절반에 지나지 않는다. 이마저도 그 절반은 여성이다. 여성인적자원의 활용 없이는 농업, 농촌의 지속가능한 성장은 불가능해 질 수밖에 없다.
이제 농촌여성은 농촌지역사회 발전의 주체다. 가정관리는 물론 영농참여 활동이 더욱 증대되고 있기에 그렇다. 농가인구 붕괴는 핵심 생산수단인 노동력의 붕괴다. 농촌마을과 농업문화와 전통의 해체다. 실효성 있는 대책이 잇따라야 한다.
요즘 가뭄에 이은 폭염 등 기상재해로 농가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단순한 경제적 보상이나 보육시설 확충 등 단편적인 접근으로는 한계가 있다. 여성친화농촌을 만들어 농촌문화를 바꾸어 가정과 영농을 양립할 수 있게 도와줘야 한다.
가사와 보육에 묶여 자유로운 활동을 벌이지 못한 여성이 많다. 이제는 ‘감성리더십’이 대세다. 농촌여성이 행복한 농촌, 여성의 성장과 안전이 보장되는 농촌이 되어야 한다. 보육시설, 농촌지역 정책과 발전과정에 여성도 성차별 없이 동등하게 참여하여 여성의 안전이 구현되는 농촌이 되게 만들어야 한다. 농촌에도 범죄예방과 안전감을 높이기 위해 폐쇄회로(CCTV)설치가 필요하다. CCTV가 만능은 아니지만 존재 그 자체만으로도 안전감을 심어줄 수 있다.
농촌여성노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도 필요하다. 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농촌의 사회적 자원으로 인식하고 지역사회활동 참여의 기회를 부여한다. 여성노인을 무력한 집단으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 그들은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이 젊은 여성세대에 비해 부족하다. 하지만 다양한 경험을 지녔다. 이를 자원으로 활용하면 생활만족도도 높여줄 수 있어 일석이조다.
물론 여성노인을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부터 바꿔져야 한다. 다문화가족이 늘고 있는 농촌에서 이들 여성들이 살기 좋은 농촌, 행복한 농촌‘을 실감할 수 있어야 한다.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야 한다. 여성의 권익이 증진될 때 여성친화농촌이 된다. 어떠한 차별도 없어야 한다. 온 사회가 공동 노력해야 가능하다. 여성의 입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여성친화농촌‘으로 발돋움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